250x250
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writing

시 문학 장르 종류 알아보기! 본문

생활 정보

시 문학 장르 종류 알아보기!

인포쟁이 2021. 11. 28. 10:39
728x90
반응형

시 문학 장르 종류 알아보기! 

 

 

1. 

소네트

Sonnet

 

정형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시종류.

소곡또는 14행시라고 번역한다. 13세기 이탈리아의 민요에서 파생된 것이며, 단테나 페트라르카에 의하여 완성되었고, 르네상스시대에는 널리 유럽 전역에 유포되었다. 소곡 또는 14행시라고 번역한다. 13세기 이탈리아의 민요에서 파생된 것이며, 단테나 페트라르카에 의하여 완성되었고, 르네상스시대에는 널리 유럽 전역에 유포되었다.

 

2.

하쿠

Haiku

 

5, 7, 5의 3구 17자로 된 일본 특유의 단시로 알려진 시문학장르.

하이쿠는 우리나라 말로 배구(俳句)라고 하며, 특정한 달이나 계절의 자연에 대한 시인의 인상을 묘사하는 서정시다. 일본 시 문학의 일종으로, 각 행은 5, 7, 5음으로 모두 17음절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하이쿠는 계절을 나타내는 단어인 키고와 구의 매듭을 짓는 말인 키레지(切れ字)를 가진다. 하이쿠를 짓는 사람은 하이진이라고 부른다. 하이쿠는 근세에 발전한 문예인 하이카이렌가, 줄여서 하이카이에서 태어난 근대문예다.

 

 

3.

엘레지

Elegy

 

죽은 사람에 대한 애도 또는 침통한 묵상의 시.

그리스어의 엘레게이아(애도가)에서 유래된 말로 비가 ·애가 ·만가라고도 한다. 고대 소아시아의 애도가 양식이 그리스로 전해진 것이며 엘레게이온(이라는 2행 연구의 시형으로 쓰이고 간결하기 때문에 묘비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시형은, 로마의 시인 사이에 계승되어 카툴루스, 오비디우스 등의 작품에서도 많이 볼 수 있으며 그것은 다시 독일의 시인들에게 답습되었다. 그러나 근대에는 보통 내용에 중점을 두고 육친이나 친구 ·연인 등의 죽음이나 불행, 또는 실연당한 슬픔에 잠긴 심정을 읊은 시를 널리 엘레지라 부르게 되었다.

 

4. 

에피그램

Epigram

 

경구 ·단시 ·비시 어원은 그리스어의 에피그라마에서 유래한 말이며 이 말이 에피타프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근대에 와서는 2행 또는 4행으로 된 기발한 풍자시가 많다. 일찍이 그리스, 특히 로마에서 발달하여 로마의 시인 마르티알리스를 근원으로 하여 영시에서는 16세기의 시인 J.헤이우드에서 B.존슨을 거쳐 18세기의 명인 포프에 이른다. 프랑스에서는 볼테르, 독일에서는 로가우가 에피그램의 명수이다. 현재는 산문에서 발췌한 1행으로 된 것도 에피그램이라고 부르며 격언이나 속담보다 개성적이며 예리한 기지와 풍자가 내포되어 있다.

 

5. 

발라드

Ballad

 

발라드는 본래 서양 고전음악의 한 장르로 이야기 형태의 시나 악곡을 지칭하던 발라드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에는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주로 노래하는 서정적인 음악 스타일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템포가 느린 서정적인 선율이 발라드 음악의 핵심으로 보편적으로 기승전결의 구성을 따른다. 가사 역시 선율에 맞게 사랑과 인생에 관한 것이 많다. 주로 건반 악기가 연주의 중심에 서며 최근엔 현악이나 오케스트라를 빌려 스케일을 크게 가져가는 경우도 흔해졌다. 노래의 주제에 맞게 호소력 짙은 가창력이 동반된다. 장르의 특성에 맞춰 팝 발라드, 록 발라드, R&B 발라드 등으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6.

오드

Ode

 

장중하고 열정적이며 때로는 명상적인, 비교적 장문의 서정시.

송가 ·부(賦) 등으로 번역된다. 그리스어의 ‘ōidē(노래)’에서 유래한 말로, 본디 악기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를 뜻했으나 근대에 와서는 주로 운율을 지닌 서정시를 가리킨다. 오드에는 몇 가지 시형이 있다. 사포 ·아나크레온의 오드는 독창용이었으나 핀다로스는 무용합창대의 동작, 즉 왼쪽회전(strophe) ·오른쪽회전(antistrophe) ·정지(epode)에 맞춘 복잡한 시형을 썼다. 그리고 호라티우스는 간소화된 형식을 사용했다. 16세기에 이르러 롱사르 ·타소 등에 의해 이 시행은 부활되고 그 후 괴테 ·휠덜린 ·위고 ·뮈세 ·푸시킨 ·밀턴 ·워즈워스 ·셸리 ·키츠 등 시인들이 즐겨 썼다. 특히 워즈워스의 《어렸을 때를 추억하여 영원의 불멸을 아는 부(賦)》는 걸작으로 알려져 있다.

 

 

내용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