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writing

야생 삼 종류 효능 궁금증 구분해봤어요! 본문

생활 정보

야생 삼 종류 효능 궁금증 구분해봤어요!

인포쟁이 2020. 2. 6. 12:29
728x90
반응형

 

 

 

 

다 똑같아 보여도 효능도 다르고

이름도 다르고 어떻게 건조하느냐 등에

 따라서 다 다르게 불리는 야생삼종류!

 

인삼, 홍삼, 산삼 외에도

이렇게 많은 삼종류와 삼효능이 다른지 몰랐다?!

 

 


 

 

 

1) 인삼(人蔘)

 

떡잎식물 사형화목 두릅나무과 여러해살풀이다.

약용으로 많이 재배하는 인삼은 뿌리 모양이

사람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인삼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향이 있으며

원기를 보하고 권태, 피로, 식욕부진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가공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2) 수삼(蔘)

 

땅에서 캐어내 말리지 않은 상태의 인삼으로

갓 수확한 상태의 인삼을 말한다.

 

3) 홍삼(紅蔘)

 

말리지 않은 수삼을 증기 또는 다른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이다. 보통 크기와 모양 등을

따져서 1~5등급으로 분류한다고 한다.

 

4) 백삼

 

4년근 이상의 수삼을 원료로해서 표피를 제거 후

건조해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인삼.

 

 

5) 태극삼

 

수삼을 수증기로 말린 인삼으로

홍삼과 백삼의 중간 단계의 인삼을 말한다.

주로 한식의 요리 재료로 사용한다.

 

 

6) 산삼

 

산에서 자연적으로 나는 인삼으로 약효가

월등하다고 알려져 있다. 맛은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해서 원기를 보하는데 좋은

약재로 알려져 있다.

 

 

7) 장뇌삼

 

산삼의 씨를 산에 뿌려 야생 상태로

재배한 것이다. 장뇌라는 이름은 줄기와

뿌리를 잇는 뇌 부분이 길어서 붙여 졌으며

일반인은 잘 구분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다른 말로는 장뇌산삼, 장로,

산양산삼이라고도 불린다.

 

8) 현삼(玄蔘)

 

현삼과의 다년초의 뿌리를 말한다.

현삼의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을 쓰고 짜며

독이 없다고 동의보감에 나와있다. 

 

9) 단삼(丹參)

 

인삼의 형태를 닮고 빛깔이

붉어서 단삼이라고 불린다.

뿌리는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탄신논과 비타민 E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10) 고삼(苦參)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다.

맛이 몹시 쓰고 효능이 삼과

비슷하다고 해서 고삼이라고

불린다. 뿌리의 형태가 흉칙하게

구부러져 있다고 해서

도둑놈의 지팡이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11) 사삼(沙參)

 

백색이며 모래땅에서 잘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뿌리에는 흰색 즙이 많으며

씹으면 점액성이 있으며 맛은 조금 달고

찬 성질을 지니고 있다. 진액을 보충해서

폐를 윤택하게 하고 열을 식혀 담 제거나

천식 등의 질환에도 좋은 약재로 쓰였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
Comments